칠년을 수일같이 라헬을 위해서 일한 야곱은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라헬을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야곱도 설레고, 라헬도 역시 설레였을 겁니다. 결혼예식을 올리고 잔치를 벌였습니다. 그리고 운명의 첫날밤. 그런데 외삼촌 라반은 야곱을 라헬에게 들어가게 한 것이 아니라 첫째 딸 레아에게로 들여보냅니다. 야곱이 아침에 보니 라헬이 아니라 레아였습니다. 너무나도 깜짝 놀라고, 황당하고, 믿어지지 않았습니다. “외삼촌이 어찌하여 내게 이같이 행하셨나이까 외삼촌이 나를 속이다니요 이럴 수 없습니다”
속임수를 잘 했던 야곱, 자신의 계략과 의지로 인생을 살아 온 야곱은 그렇게 라반에게 당하고 맙니다. 라반은 동생이 언니보다 먼저 시집 갈 수 없다는 그 지역의 풍습을 들먹거리면서 칠 일을 채우면 라헬을 줄 것이고, 칠 년을 자신을 위해서 더 일하라고 제안합니다. 어찌 할 수 없는 상황이 된 야곱은 울며 겨자 먹기로 레아를 아내로 취했고, 라헬을 얻기 위해서 또 새로운 칠 년을 일합니다.
우여곡절 끝에 레아와 라헬 자매를 아내로 얻은 야곱이 과연 레아를 사랑할 수 있을까요? 야곱은 레아보다는 역시 라헬을 더 사랑합니다. 속임수일망정 그래도 첫째 부인 자리를 차지했지만 레아는 사랑받지 못합니다. 레아는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여자로서 낙심하고 좌절했을 겁니다. 레아가 남편에게 사랑 받지 못하자 하나님께서는 먼저 레아의 태를 열어주십니다.
레아는 첫 째 아들을 낳았고 ‘르우벤’이라고 이름을 짓습니다. 르우벤의 의미는 “여호와께서 나의 괴로움을 돌보셨으니 이제는 내 남편이 나를 사랑하리로다”입니다. 남편의 사랑을 얼마나 받고 싶었으면 괴롭다고 표현하면서 이제는 내 남편이 나를 사랑할 것이라고 지었을까요? 그러나 야곱의 마음을 바꾸어 놓을 수는 없었습니다. 레아는 둘째 아들을 또 낳고 “시므온’이라고 이름합니다. 그 뜻은 “여호와께서 내가 사랑 받지 못함을 들으셨으므로 내게 이 아들도 주셨도다”입니다. 둘째를 낳았으니 이제는 남편에게 사랑받을 것이라는 굳건한 희망을 가졌던 겁니다. 그러나 여전히 남편의 사랑를 얻지 못했습니다. 레아는 셋 째 아들을 낳고 “레위”라고 이름합니다. “내 남편이 지금부터 나와 연합하리로다” 부부로써 당연히 한 몸과 한 마음이 되어서 연합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였기에 연합을 꿈꾸면서 아들 이름을 연합이라고 짓습니다. 그러나 역시나 남편으로부터 사랑받지 못하고 연합하지 못합니다. 레아는 남편의 사랑을 얻기 위해서 계속 아들을 낳았습니다. 넷째 아들을 낳고는 유다라고 이름을 짓습니다. 유다의 의미는 “내가 이제는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입니다.
레아가 아들들의 이름을 짓는 것을 보면서 당신은 어떤 느낌이 있습니까? 안타깝고, 불쌍하고, 슬프기까지 하시지 않나요? 레아는 남편의 사랑이 너무 너무 고팠습니다. 레아가 아들을 낳고, 살림하고, 살아가는 모든 목적은 남편의 사랑을 얻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레아만이 아니라 모든 아내는 남편의 사랑이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남편들이여, 아내를 사랑하십시오. 아내가 없으면 몰라도, 아내가 있으면 아내를 사랑해야 합니다. 아내 사랑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사랑받지 못하는 아내는 못 삽니다. 살 맛이 나지 않습니다. 살림하고, 자녀를 양육하고, 일할 맛이 안 납니다. 즉, 행복할 수 없습니다. 어떤 남자들은“사랑스럽지 않은데 어떻게 사랑합니까?”라고 따질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당신 자신을 위해서라도 사랑하십시오.
아내를 사랑하지 않는 남편은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남자의 인생이 꼬이고 안 풀리게 됩니다. 아내는 남편의 사랑이 있어야 하는데 사랑받지 못하면 살림도 못하고, 밥도 찌개도 반찬도 다 맛이 없습니다. 애들 양육은 엉망이 됩니다. 결국 가정 불화가 생기고 화목할 수 없습니다. 남편은 점점 집에 오는 것이 싫어지고 빨간 날도 출근하려고 합니다. 부모와 자녀들은 갈등으로 치닫습니다. 남편은 더욱 가정에는 무관심하게 되면서, 일에 소홀하거나 아니면 일에 중독되어 버립니다. 그러면 그럴수록 불화는 더욱 심화되고 악순환의 가정이 되어버리고 맙니다.
“네 집 안방에 있는 네 아내는 결실한 포도나무 같으며”(시128:3)라고 말씀합니다. 포도나무의 포도는 탱글탱글 먹음직스럽게 익고, 맛도 새콤달콤하고, 영양가 만점일 때 먹을 맛이 납니다. 남편은 새콤달콤하고, 탱글탱글하고, 영양가 만점인 아내를 먹고 살아야 합니다. 만약 남편이 아내를 먹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그 남자는 결국 영양실조 걸립니다. 영양실조 걸리면 집 밖으로 나가서 먹게 됩니다. 잘못하면 남자들이 부적절한 관계를 먹으려고 합니다. 그러다가 결국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그 책임은 누구라고 말할 수 없지만, 남편이 아내를 사랑하지 못하게 되면서 오는 악순환의 결과이며, 결국 아내와 자녀와 남편이 모두 큰 손해를 봅니다. 그러므로 아내를 사랑하지 않는 남자는 행복할래야 행복하지 못하고, 행복하고 싶어도 행복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아내가 남편에게 사랑 받으면 맛있는 요리도 하고, 아이들 양육도 잘 하고, 살맛나게 살림하면서 가정이 화목합니다. 자녀와의 관계도 좋아서 아이들이 순종도 잘 하고 제 역할을 하는 자녀들로 큽니다. 일에 있어서도 남편이 균형있게 하면서 가정은 더욱 화목해 집니다. 그럼 그 가정은 선순환의 가정이 되는 것이지요. “네 식탁에 둘러 앉은 자식들은 어린 올리브나무 같으리로다”(시128:3)라는 말씀이 이어집니다. 아내는 먹음직스럽게 결실한 포도나무 같고, 식탁에 둘러 앉은 자식들은 어린 올리브나무 같이 된다는 말씀입니다. 올리브나무는 1천년 가까이 사는 튼실한 나무입니다. 의약품이나 화장품 재료와 식용으로도 유용하게 쓰이는,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나무라고 합니다. 남편이 아내를 사랑하는 가정은 아내는 잘 익은 포도나무 같으며 자녀들은 사람과 세상을 유익하게 하는 믿음직스런 올리브나무 같은 인물이 된다는 말입니다. 이래도 남편들이여, 아내를 사랑하지 않으렵니까?
사실 레아는 남편에게 사랑 받지 못하는 것 때문에 만족할 수 없었겠지만, 네 명의 아들을 얻는 기쁨이 컸을 것입니다. 레아는 아버지에 의해서 애초에 사랑 받기 어려운 결혼을 했습니다. 또한 일부다처제가 가지고 있는 병폐의 피해자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레아는 아들 셋을 낳고 나서야 깨닫게 됩니다. 남편 쟁탈전으로 시기, 질투, 미움으로 치열하게 경쟁 해보아야 별 소용이 없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 것에 삶을 소모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아니면 초월했다고 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레아는 있는 것에 감사하며 누리는 것이 낫다는 것을 깨닫게 된 듯합니다. 하나님이 주신 것에 감사하면서 사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레아는 그제서야 하나님을 찬양하게 됩니다. 레아는 넷째를 낳고나서야 그 아들의 이름을 유다라고 합니다. 유다의 뜻은 “이제는 내가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입니다. 그렇습니다. 여호와를 찬송하면 나도 모르게 힘, 능력, 의욕이 넘칩니다. 당신은 아픔을 당했을 때 세상의 유행가를 불러 보았을 것입니다. 해결이 되던가요? 답이 나오던가요? 물론 혹시 그럴 수도 있지만 “이건 내 얘기야” “맞아, 이젠 소용없어” “아~ 난 더 이상 살아갈 이유가 없어”하면서 더욱 더 깊은 괴로움과 우울함으로 빠져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외치고 찬송하면 어디에선가 힘이 납니다. 레아는 “내가 이제는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하면서 살아갈 힘을 얻었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을 찬송해보십시오. “여호와는 나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나의 구원, 방패, 요새, 피할 바위, 산성, 선한 목자이십니다” 이렇게 하나님을 찬송해보세요. 살아갈 용기와 담대함과 힘과 지혜를 얻습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