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롭게 책망하고 가르칠 수 있게 하소서

by 이도수 posted Nov 02,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다윗의 마음이 압살롬에게 있다는 것을 군대장관 요압은 알았습니다.

요압은 외갓집에 도망가 있는 압살롬을 불러오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지난번 나단선지자를 통해서 다윗이 밧세바 간통 사건을 회개했던 것을 본 뜹니다.

요압은 한 여인을 통해서 다윗의 마음을 움직이려고 계획합니다.


드고아의 한 여인에게 다윗 왕에게 찾아가서 이야기를 꾸며내게 합니다.

과부라고 하고는 두 아들이 들판에서 서로 싸우다가 한 아들이 죽게 되었고,

동네 사람들이 동생을 죽인 아들을 살인자라고 하면서 죽이려고 하는데

어미로서 형이 동생을 죽게 한 것은 슬프지만, 남은 아들을 또 잃는 것은 막아달라는 것이었습니다.

다윗은 결코 그런 일은 당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하면서 그 여인의 청을 들어줍니다.

그러나 요압이 그 여인을 보내어 자신의 마음을 바꾸려고 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물론 요압은 다윗과 압살롬을 화해시키려는 선의로 그렇게 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단선지자를 흉내내면서 자신의 생각을 관철시키려는 요압의 계략이 있습니다.

왕을 압박해서 자신의 입지를 견고하게 하려는 생각입니다.

압살롬이 왕이 되었을 때를 대비해서 압살롬에게 잘 보이려는 정치적 욕심일 수 있습니다.

특히 왕에게 정당한 요청을 하는 것이 아니라 편법으로 요구하는 것은 왜곡된 방법일 수 있습니다.

요압에게는 지혜가 있었을지는 몰라도 순수함이 결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압의 계획으로 인해서 압살롬은 이스라엘로 돌아올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다윗은 압살롬의 얼굴을 보지 않습니다.

다윗은 압살롬에게 서운함, 증오가 여전히 남아 있었고 그것을 해결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압살롬은 아버지로부터 올바른 교훈과 가르침과 책망을 받지 못했습니다.

여전히 어색하고 불편한 관계로 결국 만남을 갖게 됩니다.

그러나 아버지에게 책망을 듣지 않은 압살롬은 결국 아버지를 업신여기고 대적하게 됩니다.

아버지에게 칼을 들고 쿠테타를 일으키게 됩니다.

"지혜로운 아들은 아비를 즐겁게 하여도 미련한 자는 어미를업신여기느니라"(잠15:20)

이 말씀처럼 압살롬은 아버지 다윗을 업신여기는 짓을 저지르게 됩니다.


가르쳐야 할 사람들을 올바르고 지혜롭게 책망하고 가르칠 수 있게 해주옵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