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복될 수 없는 구원

by 이도수 posted Feb 25,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혹시 구원받지 못하면 어찌하나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가?

예수를 믿긴 믿는데, 삶을 보면 별로 신통치 못한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보면서,

과연 저 사람이 구원받은 사람인가 하는 판단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구원의 확신이 흔들리고 불안해지는 경험을 한 번 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제대로 살지 못하다가 구원받지 못하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을 것이다.

 

"너희는 삼가 혹 너희 중에 누가 믿지 아니하는 악한 마음을 품고 살아 계신 하나님에게서 떨어질까 조심할 것이요"(히3:12)

"너희 중에 누구든지 죄의 유혹으로 완고하게 되지 않도록 하라"(13절)

"우리가 시작할 때에 확신한 것을 끝까지 견고히 잡고"(14절)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격노하시게 하던 것 같이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라"(15절)

 

살아 계신 하나님을 끝까지 견고하게 붙잡고 있으라는 말씀이다.

말씀을 읽으면서, 붙잡지 않으면 떨어지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드는 것 같다.

구원에 있어서 마지막까지 안심할 수 없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왜냐하면, 이스라엘 백성이 그랬기 때문이다.

"듣고 격노하시게 하던 자가 누구냐 모세를 따라 애굽에서 나온 모든 사람이 아니냐"(16절)

"하나님이 사십 년 동안 누구에게 노하셨느냐 그들의 시체가 광야에 엎드러진 범죄한 자들에게가 아니냐"(17절)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냐 곧 순종하지 아니하던 자들에게가 아니냐"(18절)

이러한 말씀처럼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에서 원망, 불평하며 불순종하다가 광야에서 죽음을 당했었다.

순종하지 않는 자들은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갈 수 없다는 말씀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도 이스라엘 백성처럼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지 못하면 어떻게 하나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

그들처럼 광야에서 엎드러져 죽음을 당하는 인생이 되면 어떻게 하는가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히브리서는 그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분이 우리를 도우신다는 것을 말씀하고 있다.

"시험 받는 자들을 능히 도우실 수 있느니라"(히2:18)

"한평생 매여 종 노릇 하는 모든 자들을 놓아 주려 하심이라"(히2:15)

"천사들을 붙들어주려 하심이 아니요 오직 아브라함의 자손을 붙들어 주려 하심이라"(히2:16)

"이는 하나님의 일에 자비하고 신실한 대제사장이 되어 백성의 죄를 속량하려 하심이라"(히2:17)

"우리는 그의 집이라"(히3:6)

"그리스도와 함께 참여한 자가 되리라"(히3:14)

"이미 믿는 우리들은 저 안식에 들어가는도다"(히4:3)

 

즉, 우리의 구원의 근거는 우리 자신도 아니요, 우리가 행한 일도 아니다.

우리의 행동이 구원의 근거였다면 그 구원은 롤러코스트처럼 멀미나는 것이었을 것이다.

잘 할 때는 구원받았다가 잘 못할 때는 구원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우리의 구원은 우리가 어떤 존재가 되려고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렇게 되면 공로주의 종교가 되어버리고 만다.

 

나를 구원하신 그 분의 존재가 우리의 구원의 근거이다.

나의 행동이나 어떤 행위로도 구원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

나를 위해서 이 땅에 오시고 죽으시고 부활하신 그 분이 구원의 근거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의 구원은 결코 흔들리지 않는다는 말이다.

우리의 구원은 다시는 번복될 수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구원은 우리의 행위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가 근거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