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나누는 인사법

by 이상빈 posted Aug 28,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굿모닝, 봉주르, 니하오, 알로하...
세계 각국의 나라, 민족마다 다양한 인사법이 있습니다.
대부분 편안하느냐는 인사말이겠죠?
"우분투! Ubuntu!"
이런 인사말도 있습니다.
 "우분투!"는 "당신으로 인해 제가 있습니다"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을 통해 비로소 자기가 사람이 된다는 철학적 깊이가 담긴 인사법입니다.

놀랍게도 "우분투!"는 남아프리카의 코사족과 줄루족 등 수백개의 부족들이 사용하는 인사말이라고 합니다.

내가 잘살기 위해서라도 다른 사람이 안녕해야 하고,
내가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라도 다른 사람이 행복해야 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서로를 격려해주며 "우분투!"라는 인사를 한다는 것입니다.
 "우분투!"는 비단 내가 만나는 상대만이 아니라 나 아닌 모든 이를 향한 인사인 셈입니다.


내가 지금 만나는 상대만이 아니라 한 때 스쳤던 사람들에게...
내가 잘못을 했던 사람들에게...
내가 용서를 구해야 할 사람들에게...
사랑했던 사람들에게...
모르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만날 사람들에게...

"당신으로 인해 제가 있습니다."
"당신이 행복해야 내가 행복하답니다.!"
하는 인사법은 참으로 아름답고 소중한 인사법입니다.

 

우리 크리스챤들도 즐겨 사용하는 축복된 인사가 있습니다.
"샬롬!!!"
유태인들의 인사법인 샬롬에는 안녕이라는 뜻을 포함하여 다섯가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합니다.
첫째로 평화라는 의미입니다.
내가 살고 있는 가정과 사회와 나라가 언제나 평화롭기를 원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평강이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내면적인 측면을 말하는 것으로, 마음의 평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비록 외부적 요인이 여의치 못하여 평화롭지 못하다 할지라도 주님께서 나의 마음을 붙잡아 주심으로 
내 마음의 내면적인 평강을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세째로 정의를 의미 합니다.
나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이 불의로 충만한 곳이 아니라 정의가 충만한 곳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오늘날 처럼 불의한 세상에 사는 사람들은 이 말을 간절히 원할 것입니다.
교회 안에서 만큼은 하나님의 공의가 바로 서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네째로 샬롬은 질서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오늘날 가정과 사회는 질서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식 간의 질서가 흐려져 가고 있으며
사회에서는 나이가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들 간의 질서가 무너져 내린 지가 이미 오래 되었습니다.
우리 가정과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질서의 문제와 많이 연관 되어 있기 때문에
질서가 바로 잡히지 못할 때 항상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섯 번 째로 조화라는 뜻이 있습니다.
이것은 서로 대립되거나 상충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부족함과 결핍을 채워 줌으로서
전체적인 측면에서 온전함을 이루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평화, 평강, 정의, 질서, 조화...
샬롬에 이 많은 뜻이 담겨 있는 줄 모르셨죠?


하지만 저는 이 인사법이 가장 마음에 듭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사랑과 축복을 전해주는 인사말이자 저도 더불어 행복해지는 인사법입니다.
여러분, 오늘 하루도 사랑과 축복으로 가득하시길 기도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글: 이석수-

 

2010052702467_0_liveblog.jpg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